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

연구 제목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 콜로키엄을 통한 한?일공동연구의 지평확장 모색-

연구 기간

2014년 12월 1일 ∼ 2017년 11월 30일

연구 개요

본 연구과제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metaphor)’는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속에서 비일상 체험이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또 비일상의 세계를 넘어 어떠한 방식으로 일상 속으로 회복되는지를 고찰하여 한국과 일본 문화의 기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상호 이해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일상 체험이란, 일상성을 정지시키는 사건의 체험, 혹은 일상적 시간 질서가 붕괴된 무질서에 대한 체험을 의미하는데, 비일상 체험을 다루는 방식과 과정에 대한 규명은 해당 사회가 정상성을 유지하게 위해 작동시키는 문화 운동의 기만행위欺瞞行爲(delude)를 확인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주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문학은 한 나라 문화의 가장 기층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역사와 전통 및 생활양식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그 시대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고대에서 전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의 형상화 과정과 일상성의 회복 양상에 대한 규명은 두 나라에서 문학 작품이 창작되고 향유되던 바로 그 시기의 한국인과 일본인을 이해하는 척도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문화의 심층에 깔려 있는 두 나라 국민들의 의식과 정서를 읽어낼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국민들은 유사하지만 매우 다른 사건 해결 방식을 지니고 있다. 그 기원을 소급해 가다보면 먼 신화시대로 이어지는 장구한 내러티브의 역사가 가로놓여 있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의 형상화 과정과 일상성의 회복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두 나라 문화의 기저에 놓여 있는 근원적 차이가 단지 문화적 형식의 차이일 뿐 아니라 문화적 형식을 구성하는 더 근원적인 동력動力(mechanics), 즉 비일상성을 일상성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운동彈性運動(elasticity)의 세부細部에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일상 체험, 즉 “기적奇蹟?전쟁戰爭?반란反亂?혁명革命?민중봉기民衆蜂起?종교박해宗敎迫害?정변政變?암투暗鬪?대량살육大量殺戮?기근饑饉?역병疫病?수재水災?한재旱災?천괴天怪(괴이한 천문 현상天文現象)?조난遭難?지진地震?화산火山?해일海溢 등의 천재지변天災地變?귀신鬼神?요괴妖怪?저주咀呪?둔갑동물遁甲動物?신선神仙?용궁龍宮?극락極樂?지옥地獄?초능력超能力” 등을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그러한 비일상 체험들이 문학 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또 어떻게 해석되어 일상 현실로 귀속되어 가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 두 나라 국민들이 특정 사건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방식, 즉 비일상 체험을 일상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독특한 반응 양식을 살피고, 두 나라 국민들이 지닌 고유한 문화적 상상력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과제는 한 문화가 자기에게 닥친 일상성의 정지를 어떤 프로세스(process)를 거쳐 해소하고, 이를 다시 새로운 정상성의 용기 안으로 소화시키는가 하는 문제를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1차년도 연구성과 (2014. 12. 1 ~2015. 11. 30)

제1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각 시대별?장르별?작가별로 분류하는 한편, <기적奇蹟과 신이神異,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세부 주제로는 이물異物과 이계異界, 문명충돌-균열과 틈입-, 징조徵兆, 징후, 무고巫蠱, 저주 등의 비일상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물異物과 이계異界로는 저승?용궁?극락 등의 체험담이나 몽유록의 몽계夢界 체험, 그로테스크(grotesque)를 통한 억압된 욕망의 분출, 금기禁忌에 대한 호기심과 일탈에 대한 욕망 등을 살펴보았다. 문명충돌-균열과 틈입-에서는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과 서양의 경험, 이국 경험으로 인한 균열, 그 틈으로 인한 문화적 충격과 각성 등을 살펴보고 징조徵兆, 징후, 무고, 저주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징조와 징험, 무고巫蠱와 저주 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각 연구주제별 연구 성과를 논문으로 작성하고, 연 1회의 국제심포지엄과 연 6회의 콜로키엄, 연 2회의 내부 정기연구발표회를 통해 얻어진 한?일 두 나라에 관한 연구 성과물을 학술 연구서로서 발간하는 것인데 이에 따른 추진방법 및 수행일정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추진방법 및 수행일정

1차년도 과제목표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 기적奇蹟과 신이神異,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기간(추진년월) 내용 비고
2014. 12 - 연구회의
- 1차년도 연구목표 확인 및 연구스케줄 작성
- 연구자간 역할분담
- 자료수집 및 작품 분류
2015. 01 - 연구회의
- 1차 정기연구발표회
총 2차 중 1차
2015. 02 - 연구회의
- 제1회 초청 콜로키엄 - 이도흠(한양대학교 교수)
☞ 三國遺事에서 非日常性의 敍事化 原理와 樣相 - 이물異物과 이계異界
총 6회 중 1회
2015. 03 - 연구회의
- 제2회 초청 콜로키엄 - 소메야 도모유키(染谷智幸, 이바라키기독교대학 茨城キリスト教大学)
☞ 한일 이계(異界)의식과 자연 - 이물異物과 이계異界 등
총 6회 중 1회
2015. 04 - 연구회의
- 제3회 초청 콜로키엄 - 강상순(고려대학교 교수)
☞ 조선시대 역병 체험과 신이담 - 징조徵兆, 징후 , 무고, 저주
총 6회 중 3회
2015. 05 - 연구회의
- 제4회 초청 콜로키엄 - 후쿠다 야스노리(福田安典, 일본여자대학日本女子大学 교수)
☞ 히라가 겐나이(平賀源内)가 상상한 외국 체험 - 문명충돌, 균열과 틈입(서양체험, 천주교, 이국異國)
총 6회 중 4회
2015. 07 - 연구회의
- 학술대회 개최 준비
총 6회 중 5회
2015. 08 - 연구회의
- 2차 정기연구발표회
총 2차 중 2차
2015. 10 - 연구회의
- 제6회 초청 콜로키엄 - 신익철(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연행록』에 나타난 이계 풍경과 기괴 체험 - 징조徵兆, 징후 , 무고, 저주
총 6회 중 5회
2015. 10 - 연구회의
- 제6회 초청 콜로키엄 - 우쓰이 신이치(空井伸一, 아이치대학愛知大学 교수)
☞ 일본 고전문학에 보이는 시체(死体) 묘사의 계보- 징조徵兆, 징후, 무고, 저주
총 6회 중 6회
2015. 10 -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 김종명(한국학중앙연구원), 엄기영(대구대 교수), 김정희(한국외대 외국문학연구소), 아베야스로(阿部泰郎,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学 교수), 엄태웅(강원대 교수), 한정미(단국대 일본연구소)
☞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 기적奇蹟과 신이神異,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연 1회 개최
2015. 11 학술서 [奇蹟과 神異,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간행
- 1차년도 연구평가회 및 2차년도 연구기획 모임
- 1차년도 연구보고서 작성 및 제출
연 1회 개최

2차년도 연구성과(2015.12.1. ~ 2016.11.30.)

제2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각 시대별・장르별・작가별로 분류하는 한편, <파괴된 인륜人倫, 문학적 아노미>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세부 주제로는 불륜 및 외도, 살인, 동반자살, 차별과 격차, 적대, 인귀교환人鬼交驩 등의 비일상 항목을 설정하였다.

불륜 및 외도, 살인, 동반자살로는 정절과 훼절毁節, 유언비어 등을 다루었다.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이나 이덕무李德懋의 「은애전恩愛傳」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와 함께 남녀 관계 혹은 정욕情慾에 대한 반성적 고찰, 죽음과 사랑에 대한 사회적 분석 등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고전문학 작품에서는 동반자살의 신주(심중心中), 정사情死, 살인殺人을 통한 삶의 단절을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차별과 격차, 적대에서는 남녀男女, 적서嫡庶 등의 소외와 적대, 빈부貧富간의 계급차 등을 살펴보았다. 『홍길동전』이나 각종 계모 소설이 대상이다. 이는 가정 내의 문제를 통해 사회 전체적인 차원의 원인과 해결점 발견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인귀교환으로는 살아 있는 인간이 아닌 죽은 자와의 소통, 혹은 인간보다 뛰어난 동물을 통한 인간 비판 등을 살펴보았다. 예컨대, 한국의 『한중록閑中錄』과 일본의 『가게로일기蜻蛉日記』는 여류문학이라는 점과 시대적 배경 아래 작자 자신만이 경험할 수 있었던 궁중 생활을 기반으로 자기 고백적이면서 내면의 심리묘사를 덧붙인 독창적인 기법의 창작물이라고 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와 함께 두 작품 속에는 가부장의 권력에 희생되는 여성의 삶, 어린 자식을 보호하여 미래에 재기를 도모하려는 정치적 야심 등이 총체적으로 녹아들어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일 고전문학 작품 속에 묘사된 인간관계의 파괴와 일탈된 인륜의 모습과 그 사회적 의미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차년도의 추진방법 및 수행일정은 다음과 같다.

2차년도 추진방법 및 수행일정

2차년도 과제목표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 기적奇蹟과 신이神異,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기간(추진년월) 내용 비고
2015. 12 - 연구회의 (1차년도 수행결과에 대한 자체평가회)
- 2차년도 연구목표 확인 및 연구스케줄 작성
- 연구자간 역할분담
- 자료수집 및 작품 분류
2016. 01 - 연구회의
- 1차 정기연구발표회
총 2차 중 1차
2016. 03 - 연구회의
- 제1회 초청 콜로키엄 - 조혜란(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한국 고전문학에 있어서 불륜의 사랑 - 불륜 및 외도, 살인, 동반자살
총 6회 중 1회
2016. 03 - 연구회의
- 제2회 초청 콜로키엄 : 요시노 미즈에(吉野瑞恵, 스루가다이대학駿河台大学 교수)
☞ 일본 고전문에 있어서 불륜의 사랑 -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와『도와즈가타리(とはずがたり)』를 중심으로 - 불륜 및 외도, 살인, 동반자살
총 6회 중 2회
2016. 06 - 연구회의
- 제3회 초청 콜로키엄 : 정병설(서울대학교 교수)
☞ 한국 고전문학에 있어서 차별과 격차 - 조선시대 차별과 적대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시론 - 차별과 격차, 적대
총 6회 중 3회
2016. 06 - 연구회의
- 제4회 초청 콜로키엄 : 고지마 나오코(小嶋菜温子, 릿쿄대학立教大学 교수)
☞ 일본 고전문학에 있어서 차별과 격차 - 헤이안(平安) 왕조의 <家> 와 여성을 중심으로 - 차별과 격차, 적대
총 6회 중 4회
2016. 07 - 연구회의
- 학술대회 개최 준비
2016. 08 - 연구회의
- 2차 정기연구발표회
총 2차 중 2차
2016. 09 - 연구회의
- 제6회 초청 콜로키엄 : 박일용(홍익대학교 교수)
☞ 한국 고전문학에 있어서 인귀교환 - 眞智王의 還魂交媾 生子談의 政治·神話的 함의를 중심으로 - 인귀교환人鬼交驩
총 6회 중 5회
2016. 09 - 연구회의
- 제6회 초청 콜로키엄 : 이시이 마사미(石井正己, 도쿄학예대학東京学芸大学 교수)
☞ 일본 고전문학에 있어서 인귀교환 - 이류혼인담(異類婚姻譚)의 계보를 중심으로 - 인귀교환人鬼交驩
총 6회 중 6회
2016. 10 -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 고운기(한양대학교 교수), 최광준(신라대 교수), 김정숙(고려대 연구교수), 스에키 후미히코(末木文美士, 도쿄대학東京大学 명예교수), 윤채근(단국대 교수), 김경희(한국외대 교수)
☞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Ⅱ - 파괴된 인륜人倫, 문학적 아노미
연 1회 개최
2016. 11 학술서 [파괴된 인륜人倫, 문학적 아노미] 간행
- 2차년도 연구평가회 및 3차년도 연구기획 모임
- 2차년도 연구보고서 작성 및 제출

연구책임자

윤채근
윤 채 근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졸업.
- 한국한문학 전공.
- 소설, 산문, 한시, 비평론 관련 논저 다수.
- 소설서사 콘텐츠 개발 및 창작 작업을 병행.

공동연구원

정형
정 형
- 단국대문과대 교수, 동교 일본연구소장.
- 한국일어일문학회 회장, 한국일본사상사학회 회장 역임.
- 연구분야: 일본근세문학, 일본근세종교문화론.
- 논저: 『일본근세문학과 신불』 ,『일본영대장(日本永代藏』 , 『일본일본인일본문화』, 『일본근세문학과 신불』, 『슬픈 일본과 공생의 상상력』, 『일본근세문학과 조선』, 「사이카쿠의 우키요조시에서 본 자연」-『本朝二十不孝』의 天의 용례를 중심으로- 외 다수.
윤재환
윤 재 환
-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성호星湖와 다산茶山을 중심으로 조선 중ㆍ후기 근기 남인들의 문학세계.
- 저서: <매산 이하진의 삶과 문학 그리고 성호학의 형성>, <조선 후기 근기 남인 시맥의 형성과 전개>, <상소와 비답>
- 역서: <국역 송당집>, <국역 인재집>, <국역 매호유고>, <창선감의록> 등.
김경희
김 경 희
- 일본 쓰쿠바대학교 문예언어 전공 문학박사학위 취득.
-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 연구분야: 한일 고전소설과 하이쿠, 일본의 대중문화.
- 논저: 「근세기 오사카 지식인과 동아시아 교류」 외 다수.
이권희
이 권 희
-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일어일문과 졸업(문학석사).
- 일본 동경대학 총합문화연구과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 석박사과정 수료.
-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일본 상대문학 및 근대 교육사상.
- 논저: 『古事記 왕권의 내러티브(narrative)와 가요』, 『근대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메이지 국민교육론』, 논문 「메이지기(明治期) 국민교육에 관한 통시적 고찰」 외 다수.
한정미
한 정 미
- 경희대학교 일본어학과 학사.
-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
- 도쿄(東京)대학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 석사.
- 도쿄(東京)대학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 박사.
- 연구분야: 일본고전문학에 나타난 일본의 신(神)들.
- 논저: <源氏物語における神祇信仰> 외 다수.
김정숙
김 정 숙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 전공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조선후기 한문소설과 한문산문, 동아시아 문학의 비교.
- 논저: <조선시대 저승체험담 속 죽음과 환생의 이념성> 외 다수.
김정희
김 정 희
- 덕성여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과 졸업(문학석사).
-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전공 일어일문과 졸업(문학석사).
-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전공 일어일문과 졸업(문학박사).
- 논저: <고전의 만화화를 통한독자의 스토리텔링 리터러시의 확대-『아사키유메미시(あさきゆめみし)』의 전략> 외 다수.
김창호
김 창 호
-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 고려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조선 전기·중기 한시.
- 논저: <韓國 漢詩에 나타난 '소[牛]'의 形象> 외 다수
송혁기
송 혁 기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한국고전서사문학.
- 논저: <천군전, 남명학파의 정치적 상상력> 외 다수.
엄기영
엄 기 영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한국고전서사문학.
- 논저: <천군전, 남명학파의 정치적 상상력> 외 다수.
엄태웅
엄 태 웅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 연구분야: 한국의 고전소설을 포함한 고전산문 전반.
- 논저: <『삼국유사』 「기이」 부여, 고구려 관련 기사의 서술 의도 -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에 대한 역사적, 서사적 접근- > 외 다수.
최광준
최 광 준
- 청주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 일본대학 문학연구과 일본고전문학 석사·박사과정 수료.
- 후쿠오카대학 문학박사.
- 연구분야: 일본의 萬葉集, 고전문학, 일본문화.
- 논저: 일본의 萬葉集, 일본문화의 이해, 萬葉集의 매화 등 논문 50여 편.

연구보조원

전재준
전 재 준
-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