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학연구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

pISSN: 1598-737X / eISSN: 2465-8448

일본학연구, Vol.71 (2024)
pp.33~60

DOI : 10.18841/2024.71.02

- 17세기 조선 지식인의 재난 기록과 재난 지식 경영 ―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의 소차류(疏箚類) 산문을 중심으로 ― -

김묘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이 글은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의 『명곡집(明谷集)』 소재 재난 관련 소차류(疏箚類)에 관한 첫 연구로 17세기 조선 지식인의 재난 기록과 재난 지식 경영 양상을 살피고자 기획된 것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큰 틀에서 조선시대에 발생한 대표적인 재난 양상을 살피는 작업을 시작으로 문집에 수록된 재난 관련 소차류를 주제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앞서 추출한 소차류 작품을 분석해 재난 지식 경영 양상을 확인했는데, 첫 번째로는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경영 시스템의 문제점 파악을 파악하고 임금께 해결을 요청한 양상을 살폈다. 이에 명곡이 경계의 말씀을 올리는 형식의 차자(箚子)를 지어 임금께서 재난을 없앨 방법을 생각해주시기를 간곡히 진언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명곡이 대기근의 발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한 면모를 살폈다. 조선시대의 경우 농업이 국가 경영의 중심이었던 만큼 대기근은 여러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야기하였는데, 명곡은 특장인 공적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였으며 이러한 논의가 현실적으로 정책적 실효성을 획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는 사직(辭職) 상소(上疏)나 자신의 소회를 진달한 상소를 통해 지식인의 직분에 대해 고뇌하고 있는 명곡의 모습을 포착하는 동시에 가뭄과 장마 등과 같은 재난을 당한 백성들의 고난과 아픔을 진정으로 헤아리고 있는 면모를 발견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이 글은 민생 제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현실의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려는 지식인으로서의 명곡을 들여다봤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아울러 명곡의 작품을 통해 당시 발생한 여러 재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17세기 조선시대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함과 동시에 당대 지식인의 현실 인식과 재난 지식 경영 양상을 살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Changes in the Disaster Records and Knowledge System of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7th Century ─ Focusing on the Socharyu(疏箚類) of Myeonggog(明谷) Choiseogjeong(崔錫鼎) ─

Kim-myo-jung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disaster records and knowledge system of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7th century, focusing on the disaster-related prose of Myeonggog ChoiSeogjeong. First of all, Chapter 2 summarizes and presents disaster-related pros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by subject, starting with the work of examining representative disasters that occurred in the Joseon Dynasty in a large framework. Next, in Chapter 3, the work of analyzing the previously extracted prose works was conducted, and first, the works that requested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disasters.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Myeongog actively expressed his opinion in a disaster situation by earnestly urging the king to think of a way to eliminate the disaster by taking the form of raising the word of caution.Second,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occurrence of the Great famine and the aspect of Myeongog’s suggestion of various policies to solve it.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as agriculture was the center of national management, the Great family caused variou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nd Myeongog confirmed that he expressed his opinion through public sentences in terms of policy. Third, through the resignation petition to the king and the petition to the king, he captured the image of Myeongog agonizing over the duties of intellectuals, and found that he truly understood the hardships and pains of the people who suffered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rainy season. In this way, this article has the primary meaning in that it looked into Myeongog as an intellectual who is interested in various problems of people’s livelihoods and tries to solve difficult situations in realit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by grasping various disaster situations that occurred at the time through Myeongog’s work, and at the same time, it looked at an aspect of the intellectuals’ perception of reality.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